본문 바로가기
교육정보

지진 대피요령(행동요령) 총정리!! (feat.지진 강도)

by 탠드 2023. 2. 7.
반응형

안녕하세요 탠드입니다

요 며칠새에 튀르키예 강진으로 인하여 수천 명이 사망하고 수십만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는데요

정말 보면서도 이게 지구 반대편에서 벌어지고있는일이라는게 너무 무섭고 걱정이 됩니다

눈 깜짝할 새에 지진을 당하게 된 시민들은 생명은 물론이고 재산까지 모두 잃게 되었는데요

 

이게 절대 지구반대편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해서 우리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지진 대피요령 총정리!! (feat. 지진 강도)에 대하여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알고 있는 것과 모르고 있는 것은 정말 천지차이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미리 숙지하시어 꼭 나중에 긴급상황을 대비를 잘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지금 시작할게요

 

 

지진 대피요령

 

 

 

 

지진 강도

 

지진강도는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는데요

 

다음과 같이 12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주요 지진은 2016년 9월 12일에 발생된 규모 5.8의 경주 지진이 있습니다

이는 1978년 기상청이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우리나라의 최대규모의 지진으로써 

우리나라도 언제 어디서든 지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진 안전지대는 없다는 걸 이야기합니다

 

 

지진강도

(이미지가 잘 안보이시는 분들은 클릭하셔서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지진 대피요령(행동요령)

 

 

1. 실내에 있을 때 이미 지진이 발생되고 있다면  밖으로 나가지 않고 머리를 최대한 보호하면서

책상, 식탁 위에 물건을 치우고 진동이 끝날 때까지 책상밑에서 대피합니다

 

 

2. 지진이 끝났다고 해도 여진이 남아있기에 전기 가스를 차단하고 상시 대피할 수 있게 문을 열어둡니다

 

 

3. 이동할 때는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계단을 사용합니다

 

 

4. 담벼락이나 유리가 깨져서 낙하위험이 생길 수 있으므로 최대한 멀리 떨어져서 대피합니다

 

 

5. 주변에 공터가 있으면 최대한 아무것도 없는 운동장 공원 등으로 대피합니다

 

 

지진

 

 

지진 발생 시 긴급연락처

 

 

1. 재난신고 : 119

 

2. 행정안전부 중앙재난 안정 상황실 : 044) 205-1542~3

 

3. 긴급신고 : 112

 

 

 

 

 

 

이상으로 오늘은 지진 대피요령(행동요령) 총정리!! (feat. 지진 강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정말 이런 재난은 언제 어디서 갑자기 발생될지 모릅니다 

 

그러므로 미리 알고 미리 대처하는 자세가 좋을 거 같습니다

 

오늘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